페이지 정보

페이지주소 : http://952cd7f5-55c2-472f-bc9d-08487ef75661.random.pompae.or.kr/bbs/content.php?co_id=0202

불교음악

범패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는 노래로 장단과 화성이 없는 단성 선율음악이다. 노래말을 한문이나 진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한문의 경우에는 천천히 진행한다.
이러한 범패는 안채비와 바깥채비 그리고 화청으로 구성되는데 안채비는 유치성, 착어성, 편게성, 게탁성ㅡ으로 구성되고, 바같채비는 홑소리와 짓소리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화청은 화청은 상단축원화청, 중단 지장축원화청으로 이루어지며 회심곡의 글 형식은 살아 생전 이야기와 사후이야기를 우리말로 각기 범패승의 독특한 음성으로 불리워진다.

안채비는 순수 불교의식절차로서 불교의 진리를 통해 불교의식 목적에 접근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어구를 이용해 반복하고 부연하며 수식하고 설명하여 이를 통해 내용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며 바깥채비에 비해 소리의 길이가 짧고 선율의 굴곡이 적어 리듬보다는 그 의미의 전달에 중심을 두고 있다.

바깥채비는 홑소리는 안채비를 준비하기 위한 부분과 안채비 후의 그 내용을 정리하는 구성을 갖으며 절구인 한시 형태가 대부분이다. 짓소리보다 짧음을 고려하여 단성 이라고도 부른다. 짓소리는 주로 의식진행에 중점을 두고 거행 된다. 어장의 진행에 따라 대중이 함께 합송하는 형태로서 무리를 지어 거행함을 고려하여 겹성이라고도 한다. 짓소리는 음악적으로 매우 발달된 형태로서 고차원적인 불교음악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72종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15종류만이 전해 지고 있다.

화청은 부처님과 불보살님의 공덕을 찬탄하고 참회하고 소원을 빌어 법회를 개설한 목적을 성취케 하기 위한 의식이다. 상단축원화청, 중단 지장축원화청으로 이루어지며 회심곡의 글 형식은 살아 생전 이야기와 사후이야기를 우리말로 소리하며 우리고유의 음악을 활용한다. 각기 범패승의 독특한 음성으로 불리워진다.

이와같이 범패는 국악의 성악을 대표하는 전통음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기본을 배우는 데 만도 최소 3년이 걸리는 고행의 예술이기도 하다.

바깥채비는 홋소리와 짓소리를 가리키며 대체적으로 상주권공, 각배, 영산 등 전문적으로 소리를 배운 스님들에 의해 불리우는데, 홋소리의 사설은 칠언사구(七言四句), 오언사구(五言四句)의 대개 한문으로 된 산문, 또는 범어로 된 진언(眞言)으로 구성되어 있고, 짓소리는 짧은 가사로 구성 되어 연주시간이 보통 30분에서 1시간 가까이 걸리므로 소리를 전문적으로 배운 스님이 부르는데, 이러한 소리를 모두 하는 스님을 어장(魚丈)이라고 한다. 어장은 모든 소리를 자유자재로 하는 것은 물론 의식의 전반적 흐름과 이론에도 밝아야 하므로 말강(末講), 중강(中講), 상강(上講)의 과정을 거친다. 현재 짓소리는 과거 72곡(曲) 중에서 15곡만이 전해지고 있다.

홋소리
가영聲 / 가지게聲 / 개게聲 / 등게 / 보공양 / 보회향聲 / 복청게 / 삼례사부청聲 / 소聲 / 송자聲 / 욕건이聲 / 원아게聲 / 창불聲 / 창혼聲 / 할향게聲 / 합장게 / 향수나열聲 / 헌좌게聲

짓소리
거 불 / 거령산 / 관욕게 / 그외 반짓소리(옹호게, 창불) / 단정례 / 두 겁 / 목욕진언 / 바깥채비반짓소리-봉청법현스님 / 보 례 / 삼남태 / 삼마하 / 식영산 영산지심 / 오관게 / 옴아훔 / 인 성 / 특사가지

작법무반주시 홋소리
구원겁중(구원겁중 성등정각 운운) / 다게 (금장감로다 운운) / 대각석가존 운운 / 도량게 (도량청정무하례 운운) / 만달작법 / 모란찬 (모란작약연화위존 운) / 사방요신, 긔경작법-기악곡 / 삼귀의 (삼각원만덕구 운운) / 삼남태(아라다 옴 아라남 운운) / 오공양 (향공양 운운) / 운심게 (원차향공변법계 운운) / 귀불 / 정례(귀명시방 상주불 운운) / 지옥게(지옥고 운운) / 창혼<삼원아계>(원아금일재자 운운) / 향화게 (원차향화변법 운운)

안채비 가사내용은 주로 한문으로 된 산문이며 바깥채비 음의 굴곡이 긴 것에 비하여 안채비는 짧은소리를 촘촘히 엮어 나아가는 형식으로 보통 절안에 있는 병법(秉法)이나 법주(法主)가 4,6체 형식 문장을 요령을 흔들며 하거나 착어성 등 독소리로 한다.

유치성(각종 권공의 유치성)
가람청 / 관음청 / 귀왕청 / 나한청 / 독성청 / 미측청 / 미타청 / 사천왕청 / 산신청 / 신중청 / 안채비진언성 / 약사청 / 용왕청 / 정신청 / 제불통청 / 제석 지장청 / 칠성청 / 태세청 / 풍백우사청 / 현왕청

착어성(각종 시식의 착어성)
관음시식 / 구병시식 / 안채비착어성 / 전시식 / 화엄시식

편게성
관욕 및 시식에 있어서 편게성 / 안채비편게성

개탁성
상부개게 / 안채비게탁성 / 영산개게 / 원부개게

소성
개게소 / 건회소 / 대령소 / 대회소 / 명위소 / 물장소 / 사자소 / 삼보소 / 상단소 / 성위소 / 시왕소 / 오로소 / 중위소 / 청장소 / 풍백우사소 / 하위소 / 합소 / 행첩소 / 회향소

화청은 상단축원화청, 중단 지장축원화청으로 이루어지며 안채비나 바깥채비와 달리 일반대중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심곡의 글 형식은 살아 생전 이야기와 사후이야기를 한글로 각기 범패승의 독특한 음성으로 불리워진다.

화청의 종류(가곡)
가가가음 / 경축가 / 권면가 / 권왕가 / 목련가 / 몽환가 / 범패화청 / 범패회심곡 / 별회심곡 / 성도가 / 성탄가 / 신년가 / 열반가 / 오도가 / 왕생가 / 원적 월인가 / 찬불가 / 참선곡 / 화청회심곡동희스님

화청의 종류(상단축원화청)
고사 선염불 / 부모은중경청 / 육갑화청 / 화청축원화청송암스님 / 팔상화청 / 평염불정법계진언 / 평염불축원송암스님